티스토리 뷰

자료를 저장하기 위해선 일단 MongoDB에 저장할 폴더와 파일을 만드세요

1. MongoDB Atlas 메인 대시보드에서 Collections 라는 버튼을 누르도록 합시다. 

 

database/ collection 만들기 

 

▼ 2. 이번엔 Add my own data 버튼을 누르도록 합시다. (혹은 이미 뭐가 있다면 create database)

 

 

 

 

 

▼ 3. database 이름, collection 이름을 예쁘게 하나씩 정해서 create 누릅시다. 

 

 

저는 database 이름은 todoapp,

collection 이름은 post 라고 지었습니다.

 

 

 

database와 collection은 그림으로 그리자면 이렇습니다.

database는 하나의 폴더, collection은 하나의 엑셀파일이라고 생각하면 대충 맞습니다.

 

 

이제 server.js 코드를 짜서 db와 통신해보도록 합시다. 

var db;
MongoClient.connect('접속URL', { useUnifiedTopology: true }, function (에러, client) {
	if (에러) return console.log(에러)
	db = client.db('todoapp');

	app.listen(8080, function () {
		console.log('listening on 8080')
	});
});

(둘째줄에 { useUnifiedTopology: true } 이건 쓰면 좋습니다. 워닝메세지를 제거해줍니다.)

이렇게 여러분 코드를 바꿔주시면 됩니다. 첫줄과 넷째줄에 코드가 추가되었죠?

var db;로 페이지 전체에서 쓸 수 있는 전역 변수를 하나 만들고,

그리고 client.db('todoapp') 이라는 이상한 함수로 todoapp 이라는 database 에 접속해주세요~라는 명령을 내렸습니다.

 

collection에 자료 하나 추가하는 법 

세줄만 쓰시면 아까 만든 collection에 내가 원하는 자료를 추가해볼 수 있습니다.

var db;
MongoClient.connect('접속URL', { useUnifiedTopology: true }, function (에러, client) {
  if (에러) return console.log(에러)
  db = client.db('todoapp');

  db.collection('post').insertOne( {이름 : 'John', _id : 100} , function(에러, 결과){
    console.log('저장완료'); 
  });

  app.listen(8080, function () {
    console.log('listening on 8080')
  });
});

중간에 세줄이 추가되었습니다. DB에 자료 추가할 일이 있을 때마다 저거 세줄 쓰면 됩니다.

db.collection('post') 라는건 collection 중에 post 라는걸 선택한다는 뜻이고

뒤에 insertOne을 붙이시면 자료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Object 자료형식으로 추가가능)

그리고 insertOne 함수는 insertOne(추가할 자료, 콜백함수) 이렇게 쓰면 되겠습니다.

 

 

db.collection('post').insertOne() 

이 패턴 잘 기억합시다. 

나중에 데이터 추가하고 삭제하고 수정할 때도 이거와 동일한 형식으로 쓸 거니까요.

 

 

(참고) 뭔가 안된다면 접속 URL 복붙할 때

mongodb+srv://디비계정아이디:디비계정패스워드@어쩌구/데이터베이스이름?retryWrites=true&w=majority

위 처럼 데이터베이스 이름까지 넣어야 잘되는 경우도 간혹 있습니다.

 

 

_id 라는건 왜 붙이죠?

mongoDB에선 자료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해 _id가 꼭 있어야합니다.

일종의 출석번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걸 직접 집어넣으셔야 하는데

안집어넣으시면 알아서 하나 만들어줍니다.

_id : ObjectId('64658e7ca49ac256c0fe6849') 이런형식으로 생김

 

근데 저런 이상한 문자들 보기싫으니까 보통 번호붙여 저장을 합니다.

_id : 1

_id : 2

_id : 3

이렇게 저장하는 자료들에 항상 유니크한 출석번호를 붙여서 저장을 하는게 좋습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