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First 프로젝트는 echo로 출력만하고
Second프로젝트는 git maven build를하여 페키지생성
Third프로젝트 생성된 패키지를 tomcat서버에 배포까지 하였습니다.
위 3개의 프로젝트를 pipeline 형식으로 연계되도록 한번 설정해보자
First와 Second프로젝트만 위와같이 Build other projects 를 설정해줍니다.
빌드전 톰캣파일에서 startup 실행시켜주시고 빌드해보면
First - Second - Third순으로 빌드가 진행되는것을확인 잘 배포가되었는지 톰캣사이트에 접속해보니
localhost:8088 (8088로 설정되어있음)
빌드전
빌드후
배포를 완료하게되면 우리가 배포한 hello-world가 보여야한다.
시각화
현재 위처럼 3개의 프로젝트가 진행이되는데 이것을 시각화를 하여 보다 보기좋게 확인해보자
우선 플러그인을 받아야한다
view생성
대쉬보드 중단쯤에 +버튼클릭
방금 설치한 플러그인을 설정해주고 create
제일하단의 piplines추가해서 밑과같이 입력
파이프라인 시각화할 대상을 Initial Job에 지정
설정이 완료되었다면 저장
완료후 확인해보면 밑과같이 설정한이름의 탭이 생성되어있고 파이프형식으로 우리에게 시각화되어 보여진다.
다시 First-Project를 빌드해보면 순서에따라 게이지가 채워지며 연계되어 빌드가 진행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CI CD > JenKins' 카테고리의 다른 글
Jenkins(Mac m1) 19 Pipeline Syntax (0) | 2023.06.30 |
---|---|
Jenkins(Mac m1) 18 Pipeline script (0) | 2023.06.30 |
Jenkins(Mac m1) 17 CI/CD 자동화 프로세스 만들기 (0) | 2023.06.30 |
Jenkins(Mac m1) 16 CI/CD 자동화 프로세스 구성 설명 (0) | 2023.06.29 |
Jenkins(Mac m1) 15 jenkins + ansible + kubernetes 연동 (0) | 2023.06.29 |